김민석 국회의원은 국정감사에서 “치매안심센터 인력난은 매년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이지만 뚜렷한 개선점이 없는 상황이다. 치매 관련 전문가교육시스템 정비와 치매 관련 종사자에 대한 처우개선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와 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전국 지자체에서 총 256개 치매안심센터를 운영 중이며 복지부는 치매안심센터 인력구성에 대한 지침을 만들어 배포하고 있다.
하지만 기본인력구성 지키지 못하는 치매안심센터 상당수 확인됐다. 사회복지사 미충족 18곳, 임상심리사 미충족 160곳, 작업치료사 미충족 6곳이고, 특히 강원 삼척시 소재의 치매안심센터는 사회복지사, 임상심리사, 작업치료사 모두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는 기간제근로자는 총 401명이며 제주지역 총근무인력(84명)의 33%, 경남지역 총근무인력(386명)의 15%, 광주지역 총근무인력(108명)의 13%가 기간제근로자로 파악되었다. 특히 제주 서귀포시서부, 전북 남원시, 서울 강북구, 경기도 광주시 치매안심센터 근무인력의 절반 이상이 기간제근로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센터장이 보건소장을 겸하고 있어 의사에 대한 인력 구성지침이 없는 상황이다. 전국 치매안심센터 근무자 4,828명 중 의사는 86명뿐으로 전국 치매안심센터의 67%(172개소)가 별도 의사 인력 없이 운영 중이다.
전국 치매안심센터 대부분은 만기발병 치매환자 중심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중앙치매센터의 자체연구로 개발한 ‘톡톡(Talk Talk)’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초로기 치매환자 전담 쉼터를 운영하고 있는 곳은 전국에 34곳에 불과하다.
김민석 의원은 “치매 진단과 추적이 대부분 의료기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어 치매환자가 치매안심센터 등록으로 연결되지 않아 지역 내 치매환자의 관리가 현실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현재 예방·관리측면에 치중되어있는 치매안심센터의 기능을 선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기능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상대적으로 부족한 조기발병 치매환자·가족들을 위한 전문적인 프로그램과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구체적인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김병헌 기자(bhkim4330@hanmail.net)
ⓒ 시니어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