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경력단절여성 재취업까지 평균 8.4년 걸려

여가부, 실태조사 결과…경력유지여성보다 월 76만 원 덜받아

입력 2017년02월21일 22시09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임신과 출산, 양육 등으로 경력단절을 겪은 여성이 다시 취업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8년이었다. 또 임금은 경력이 단절되기 전보다 월 27만 원 가량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221일 여성가족부가 전국 2554세 여성 4,835명을 대상으로 한 ‘2016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결과를 보면 이들이 재취업하는 데 걸린 기간은 평균 8.4년이었다. 2013년 조사 때 8.6년과 비슷했다. 경력단절여성이 경력단절 전후 겪는 임금격차는 월 268,000원으로 3년 사이 47,000원 더 벌어졌다. 경력단절 이후 첫 일자리에서 임금은 월 평균 1463,000원으로 퇴직 당시 임금 1731,000원의 84.5수준이었다. 과거 임금은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해 재산정했다. 경력단절을 겪지 않은 여성과의 임금 격차는 월 평균 763,000원으로 3년 전 66만 원에서 103,000원 더 벌어졌다.

 

경력단절이 발생한 사유는 결혼이 61.8에서 40.4로 크게 줄어들고 임신·출산(26.5%→38.3)과 가족구성원 돌봄(4.2%→12.9)이 늘었다.

 

여가부는 결혼 자체만으로 직장을 그만두는 관행이 개선되고 인구고령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했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이후 임시근로자와 시간제로 일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었다. 또 일하기를 희망하는 비취업 여성이 선호하는 근로형태에 대한 항목에서 시간제를 선호한다는 비율이 10명 중 6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유는 육아(42.6)와 자녀교육(23.5), 가사(11.7) 등이 많았고 전일제 직장을 구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은 0.7에 불과했다. 재취업 때 겪은 어려움으로는 양육·보육(51.1), 가족의 이해와 가사노동 분담 부족(20.0)을 꼽은 응답자가 많았다. 정부에 바라는 정책으로는 비취업 여성은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37.1), 취업여성은 연령차별 철폐(32.8)를 가장 필요한 정부정책으로 꼽았다.

 

강은희 여가부 장관은 이번 조사로 경력단절에 따른 개인적·사회적 손실이 매우 커 경력단절이 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이 여실히 드러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력단절여성이 기존 경력을 살려 좋은 일자리로 취업할 수 있도록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는 IT, 콘텐츠 분야 등 고부가가치 직종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청년여성 특화 경력개발 프로그램 매뉴얼 보급 등을 통해 청년기부터 질 좋은 일자리로 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박희숙 기자(smkim2487@hanmail.net)

시니어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희숙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건강 스포츠 문화 이슈

동영상 뉴스

포토뉴스

건강뉴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