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5년전과 달라진 서울시 1인가구 일상

만족도 높아졌으나 위급상황 대처에 어려움

입력 2022년05월11일 21시20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2020년 서울시 1인가구 수는 전체 398만 가구 중 139만 가구로 34.9%를 차지한다.

 

1인가구 밀집지역 등을 분석한 결과, 전체가구 대비 1인가구 비율이 서울시 평균(34.9%) 보다 높은 행정동은 총 168곳(평균 39.5%)이며, 1인가구 비율이 절반 이상인 행정동도 38곳(8.9%)이다. 권역별로는 서남권, 도심권, 동북권에 밀집되어 있으며 특히 관악·종로·중구 밀집률이 압도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별로 살펴보면, 청년 1인가구의 경우 중년·노년에 비해 밀집률이 높고 밀집지역 개수도 많다. 밀집률이 높은 행정동은 18개(37~ 59%)이며, 주로 행운동, 신촌동, 화양동, 안암동, 회기동 등 대학가와 역삼1동 등 업무지역에 밀집지역이 형성되었다. 노년 1인가구는 밀집률이 낮고, 도심권·동북4구·동남권·서남권 등 서울 전역에 분산되어 있는 특징을 보였다.

 

실태조사 결과 서울시 1인가구의 86.2%는 ‘혼자 사는 것에 만족’하고 있으며, 36.8%는 ‘지금처럼 혼자 살고 싶어했으며’ 그중 23.6%는 ‘평생 1인가구로 살아갈 것’이라고 응답했다. 혼자 생활하는 것에 대한 주요 장점은 자유로운 생활 및 의사결정(36.9%), 혼자만의 여가시간 활용(31.1%), 직장업무나 학업 등에 몰입(9.6%) 등이다.

 

1인가구가 된 원인과 관련, ‘사별·이혼·별거’가 2017년 20.9%에서 2021년 28.3%로 증가했다. 1인가구에 대한 차별·무시·편견 등은 2017년 53.0%→2021년15.8%로, 부정적 인식이 개선되었다. 1인가구의 월평균 소득의 경우 2017년 조사 대비 12만 원 상승한 반면, 월평균 생활비는 43만 원(2.7배) 상승해 실질 소득이 감소했다.

서울시 중장년 1인가구 밀집지역 현황(%)
 

1인가구의 85.7%는 ‘혼자 생활하면서 불편함을 느낀다’고 했으며, 가장 곤란하거나 힘든 점으로 ‘몸이 아프거나 위급할 때 대처하기가 어렵다’(35.9%)고 답했다. 2017년 제1차 1인가구 실태조사에 비해 경제적 불안감(1순위 31%)은 크게 줄고, 위급상황 대처 및 식사 해결의 어려움이 크게 늘었다.

 

1인가구의 76.1%가 ‘혼자 생활하면서 심리적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했으며, 심리적 어려움의 주요 이유는 ‘혼자 살아가는 외로움(20.2%)’, ‘할 일이 없는 시간이 많아 무료함(15.0%)’, ‘혼자 남겨진 것 같은 고독감(14.5%)’ 순으로 조사되었다.

 

1인가구의 절반 이상이 식사준비(55.1%), 청소·세탁(52.7%) 등 가사업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생활편의서비스 중 식사관련 서비스 이용 의향(72.4%)이 높은 호응도를 보였다. 여가활동면에서 ‘관광 21.0%, 운동 17.8%, 문화예술 또는 스포츠 관람 12.6%’ 등을 희망하고 있었으나, 실제 여가생활은 ‘영상물 시청(47.6%)’이 절반 가량 차지했다.

 

 

주거 관련해서는 1인가구 10명 중 7명이 ‘주택매물 부족(35.6%)’과 ‘주거지 비용 마련의 어려움(35.5%)’을 경험했으며, 54.1%가 ‘주거비 부담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임차 거주 가구의 30.9%는 월소득 대비 월 주거비가 20~30%를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인가구는 경제·안전·건강 등에서 다인가구에 비해 여전히 취약했다. 서울시 1인가구 월평균 소득은 219만 원으로 다인가구 균등화 월소득 305만 원보다 86만 원 적었으며, 69.3%가 중위소득 100% 이하에 분포되었다. 1인가구는 다인가구보다 모든 범죄의 피해 두려움(13~15%)이 높았고, 폭력범죄피해의 경우 전국범죄피해율 0.57%보다 약 3배 높은 1.5%였다. 범죄 위험 장소로는 귀갓길(25.5%), 방치된 공간(21.0%), 주택 외부 공간(17.1%) 등 주로 옥외공간에서 범죄 두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서울시 노년 1인가구 밀집지역 현황(%)
 

1인가구의 만성질환 유병률은 31.5%로 다인가구의 11.8%에 비해 약 2.7배 높았다. 주거비 과부담 비율 또한 30.9%로 서울시 다인가구보다 16.8%p 더 많았고, 청년(35.4%)과 노년(38.5%)에서 주거비 과부담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시는 그동안 사각지대에 놓여있었던 중장년 1인가구의 주거실태에 대해 심층조사도 병행했다.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데이터 및 사전 심층면접조사 결과를 근거로 중장년 밀집지역(2개 지역)과 청년·중장년 혼합지역(2개 지역), 비교군(1개 지역)의 5곳을 선정해 가구 및 건물조사, 인근 생활시설 등을 조사했다.

 

밀집지역 중장년의 월평균 소득은 116만원으로 5개 조사지역 평균(182만원)의 63.7%, 절반 이상(57.6%)이 기초생활수급자로서 스스로 생계를 유지하거나 노후를 대비하기에 매우 불충분했다. 밀집지역의 중장년은 주말 저녁에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93.2%였다. 특히 조사지역 전체 중장년 1인가구의 3명 중 1명은 최근 3개월내 접촉한 사람이 없어 심각한 사회적 고립이 우려된다.

 

중장년 1인가구는 저렴한 주거비를 찾아 밀집하게 되고, 살던 지역을 벗어나기 어려우므로 정주 환경 개선을 위한 1인가구 생활서비스 지원 강화와 소득 및 시세와 연동한 통합 공공임대주택 공급 등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해선 서울시 1인가구 특별대책추진단장은 “현재 서울시에서 시행 중인 1인가구 ‘4대 안심정책’(건강, 안전, 고립, 주거)과 관련해,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해 생활밀착형 맞춤 정책을 발굴, 시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글=김병헌 기자(bhkim4330@hanmail.net)

ⓒ 시니어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병헌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건강 스포츠 문화 이슈

동영상 뉴스

포토뉴스

건강뉴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