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군구 가운데 서울 강동구·송파구, 경기 부천시·수원시, 부산 기장군, 충북 증평군 등 6곳이 화재와 교통사고 분야 안전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산 중구와 대구 동구 등 7곳은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화재와 교통사고 피해 위험이 큰 것으로 평가됐다.
국민안전처는 2013년 화재와 교통사고 통계를 대상으로 산출한 화재분야와 교통사고분야 지역안전지수 등급을 7월 29일 시범 공개했다. 지역안전지수는 지자체의 안전수준을 분야별로 계량화한 수치로 매년 전년도 안전관련 주요통계를 위해지표(사망·사고건수), 취약지표(위해지표 가중), 경감지표(위해지표 경감)로 구분해 산출식에 따라 계산한다.
시·도, 시·군·구 등 지역 유형별로 그룹을 지어 최고 1에서 최저 5까지 등급을 부여하게 된다. 지수 산출에 반영되는 지표는 화재·교통사고·자연재해·범죄·감염병·자살·안전사고 등 7개 분야 총 38개 항목이다.
안전처가 2013년 화재·교통사고 통계로 안전지수등급을 산출한 결과 특별·광역시 중에는 서울시가, 도 중에는 경기도가 화재·교통사고 분야 모두 최고 등급을 받았다. 세종시와 전남도는 두 재난분야 모두 최하위 5등급으로 평가됐다.
기초자치단체는 시·군·구 유형별로 1∼5등급을 매겼다. 화재 분야에서는 경기 부천시, 전북 전주시, 부산 기장군, 충북 증평군, 서울 강동구, 송파구 등 22개 기초자치단체가 상위 10%인 1등급을 받았다. 교통사고 분야에서는 경기 수원시, 안양시, 대구 달성군, 강원 홍천군, 서울 송파구, 양천구 등 22개 기초자치단체가 1등급을 기록했다. 반면 부산 중구, 대구 동구, 경북 영천·상주시, 충북 보은·영동군, 경남 의령군은 같은 유형의 자치단체 중에서 안전수준이 가장 낮았다.
안전처 관계자는 “인구 1만 명당 사망자수 지표가 등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안전처는 지역별 안전지수와 등급 외에도 200여 종의 안전통계가 입력된 지역안전진단시스템을 지자체에 제공할 방침이다. 또 중·하위 등급 지자체 중 4개소를 선정해 안전 위협·위험요인에 대한 정밀진단·분석으로 대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전문기관의 컨설팅을 실시하기로 했다.
상세한 지역안전지수는 안전처 홈페이지(www.mpss.go.kr)와 생활안전지도 웹사이트(www.safemap.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안전처는 시범운영 기간 동안 지자체의 의견을 수렴·보완해 오는 10월에는 2014년 7개 분야 통계를 대상으로 산출, 정식 지역안전지수를 공개할 예정이다.
박인용 안전처 장관은 “지역의 안전수준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알 수 있는 지역안전지수 도입을 계기로 지자체의 지역안전에 대한 노력과 책임성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정부에서도 재정지원, 컨설팅 제공 등 지역안전 수준을 높이는데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