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혈관이 절반이나 막혀도 아무 증상없는 위험한 경동맥 질환

2020년 진료인원 10만명…남성 6만명, 여성 4만명

입력 2021년12월06일 16시14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경동맥의 폐쇄 및 협착’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6년 6만2,000명에서 2020년 10만 명으로 3만8,000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2.7%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3만8,000명에서 2020년 6만 명으로 58.3%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2만4,000명에서 2020년 4만 명으로 65.8% 증가했다.


 

2020년 기준 ‘경동맥의 폐쇄 및 협착’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0만 명) 중 60대가 35.3%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30.7%, 50대가 17.2%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60대 34.4%, 70대 31.5%, 50대 17.0%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6.5%로 가장 높았고, 70대 및 50대 각각 29.5%, 17.6%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서권덕 교수는 “경동맥 협착은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도 증가하는 질환이다”며 “흡연이 큰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흡연율이 높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경동맥 협착 유병률이 더 높다”고 설명했다.

 

인구 10만 명당 ‘경동맥의 폐쇄 및 협착’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194.5명으로 2016년 122.1명 대비 59.3% 증가했으며, 남성은 2016년 147.7명에서 2020년 231.5명으로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96.2명에서 2020년 157.3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890.5명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70대가 1,201.7명으로 가장 많고, 80대 이상이 1,109.8명, 60대 642.0명 순이며, 여성은 70대가 631.8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437.6명, 80대 이상이 408.1명 순으로 나타났다.

 

경동맥의 폐쇄 및 협착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6년 498억 원에서 2020년 886억 원으로 2016년 대비 77.8%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5.5%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성별 경동맥의 폐쇄 및 협착 건강보험 총진료비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35.5%로 가장 많았고, 60대 32.8%, 80대 이상 15.4%순 이었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70대가 37.2%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60대가 32.6%로 가장 많았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간 살펴보면, 2016년 80만4,000원에서 2020년 88만7,000원으로 10.3% 증가했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2016년 89만4,000원에서 2020년 98만7,000원으로 10.4%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66만4,000원에서 2020년 73만8,000원으로 11.1% 증가했다. 2020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보면, 9세 이하가 208만8,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80대 이상이 118만6,000원, 70대 102만6,000원 순으로 나타났다.

 

서권덕 교수에 따르면 동맥경화증에 의해 경동맥의 협착이 진행되기 때문에 동맥경화증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들이 발생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나이가 들면서 동맥경화증은 서서히 진행하게 되며,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과 같은 질병이 있을 때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흡연, 과도한 음주, 비만과 같은 생활 습관과 관련된 요인도 동맥경화증을 진행시키는 위험 요인이다.

 

경동맥은 뇌로 혈류를 공급하는 가장 큰 혈관으로 주로 뇌의 전방 순환계에 혈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경동맥이 좁아지게 되면 뇌의 혈류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경동맥 협착이 심하게 진행된 경우에는 혈류 공급 부족으로 인해 뇌가 손상되는 뇌경색(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 경동맥 협착이 심하지 않은 단계에서도, 동맥경화증에 의해 형성된 경동맥의 죽상경화반에서 혈전이 떨어져 나가 뇌 안쪽의 뇌혈관을 막게 되면 뇌경색이 발생할 수 있다.

 

뇌경색에 의한 증상은 손상된 뇌의 반대쪽 얼굴, 팔, 다리의 마비 증상, 언어 장애, 무시 증후군 등 뇌경색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내경동맥은 뇌로 올라가다가 눈으로 향하는 혈관도 분지하기 때문에 경동맥 협착이 심하게 되면 눈으로 가는 혈류가 부족해져서 같은 쪽 눈이 일시적으로 잘 안 보이는 증상인 일과성 흑암시가 나타날 수 있다.

 

경동맥 협착은 동맥경화증에 의한 죽상 경화반이 점차 커지면서 발생하기 때문에, 동맥경화증의 위험요인을 조절하는 것이 예방법이다. 조절 가능한 위험인자인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에 대한 약물치료를 하여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활습관 중 흡연이 가장 좋지 않으며, 경동맥 협착이 확인되었다면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과도한 음주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한 체중 증가가 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경동맥 협착을 일으키는 죽상경화반이 만들어지면 이는 다시 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미 협착이 확인된 이후에 위험요인을 적절히 관리하지 않는다면 협착이 점점 진행할 수 있으며, 진행 정도에 따라 뇌경색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글=남정식 기자(rlaqudgjs930@naver.com)

ⓒ 시니어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남정식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건강 스포츠 문화 이슈

동영상 뉴스

포토뉴스

건강뉴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