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서울의 1인가구는 약 130만 가구로 1980년 8만2,000가구로 40년 만에 약 16배 증가했고, 전체 380만 가구의 33.9%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서울거주 1인가구의 특징을 분석하고 1인가구에 대한 정책 수요를 파악했다.
서울인구는 199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1인가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2038년까지 1인가구가 증가하며, 전체가구 대비 1인가구 비중은 2047년까지 증가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고령화에 따른 독거노인가구의 증가와 만혼·비혼 등 중장년층 1인가구의 증가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화의 영향으로 청년인구(20~39세)가 유입되던 1994년 이전은 1인가구의 70%가 20·30대였으나, 고령화에 따라 2015년 이후 1인가구는 40대 이상이 50%를 넘어서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19년 1인가구의 거처는 단독주택(40.4%), 아파트(22.1%), 다세대 주택(17.2%) 순으로 거쳐 유형이 다양해졌으며 오피스텔 등 주택이외 거처(오피스텔, 숙박업소객실, 고시원 등) 비율도 15.4%로 높게 나타났다. 주거형태의 다양화는 1인가구의 유형도 다양하고, 그만큼 복지나 정책의 수요도 다양할 것이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연령대별 비교에서 1인가구와 다인 가구주의 경제활동 비율은 비슷하다. 하지만, 상용직 비율은 40대 이후부터 1인가구가 다인 가구주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다인 가구주보다 1인가구에서 40대 이후부터 덜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재정상태 만족도, 사회생활 행복도, 자신의 건강상태 만족도는 40대부터, 직업 만족도는 50대부터 1인가구의 만족도 폭이 크게 감소했다.
1인가구의 사회관계성은 다인 가구주보다 30대 이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아플 때 보살펴 줄 수 있는 사람’은 생애 전반에, ‘금전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과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이야기 할 사람’은 20대 후반부터 더 낮게 나타나며, 타인과의 관계가 적은 ‘문화활동 경험’은 30대 후반, ‘규칙적 운동’은 50대부터 낮게 나타났다. 1인가구 내에서도 개인 행복도와 사회 관계성은 연령별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대와 30대에서 높으며 50대와 60대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서울시 1인가구 5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의 40.9%는 서울시가 1인가구가 살아가기에 적합한 사회라고 생각하며, 62.8%가 계속해서 1인가구로 남기를 원하고 있다. 1인가구로 가장 만족스러운 점은 간섭받지 않는 독립된 생활(73.1%), 나 자신을 위한 투자/지출 가능(31.1%), 효율적인 시간 활용(30.3%)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인가구의 30.1%는 1인가구가 살아가기 적합하지 않은 사회이고, 1인가구의 35.9%는 “1인가구는 여러 문제가 있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족한 사람(외톨이, 비혼주의자, 경제적 무능력자, 개인주의자/이기주의자, 손쉬운 대상 등)”이라는 사회적 편견이 있다고 생각했다.
서울시는 1인가구 증가에 따라 2019년도에 최초로 ‘1인가구 종합 지원계획’을 발표했는데, 서울시 1인가구의 절반이(53.4%) 계획을 인지하고 있었다. 서울시 1인가구 종합지원 계획은 1인가구의 ①사회적 관계형성, ②사회적 고립을 예방, ③사회적 존중의식 확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시 1인가구 종합지원 계획의 인지율은 53.4%이며, 소득이 증가할수록 인지율은 증가했으며, 40·50대의 인지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사업별 인지도는 여성 1인가구 안전지원(56.0%), 1인가구 커뮤니티 공간 확충 및 활동지원(48.9%), 취약 1인가구를 위한 지역사회 지지체계 구축(45.5%) 순이었으며, 사업 인지자 중에서 참여도는 여성 1인가구 안전지원(18.6%), 1인가구 지원센터 구축(17.3%), 1인가구 커뮤니티 활동지원(16.7%) 순으로 나타났다. 사업시행 초기라 아직은 인지도에 비해 참여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서울시 1인가구를 위해 우선 추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으로는 주거안정지원(55.0%), 기본소득지원(31.1%), 연말정산 소득공제 범위 확대(19.3%)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성과 20대·60대는 ‘방범/치안 등 안전 확보’에, 40대 이상은 ‘고독사 예방 등 사회적 관계망 지원’, ‘건강보험료 지원’에 관심을 보이는 등 성·별 연령별로 1인가구 정책수요의 특성을 보였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1인가구 정책은 성·연령·직업 등 가구의 특성에 따라 정책수요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생애주기별 복지정책 수립과 궤를 같이 한다고 판단된다”며 “이에 따라 서울시는 1인가구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으로 다양해지는 정책수요를 지속적으로 파악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글=박인수 기자(rlaqudgjs930@naver.com)
ⓒ 시니어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