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독일의 평생교육

독일 성인교육의 흐름

입력 2019년12월23일 15시50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독일은 1960년대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와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해 전체 인구의 고령화가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그 이후로 장기적인 안목으로 전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교육체계를 법제화하고, 실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정부와 지방정부 차원에서 끊임없는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전후 독일의 정치적·이념적 변화에 따라, 민주주의에서 발현한 정신을 바탕으로 누구나에게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사회적 동의가 생겼다. 그에 따라 교육체제에서 다소 소외되었던 시니어 인구도 젊은 세대와 다름없는 교육기회를 누리게 되었다. 즉 독일의 시니어 교육은 기본적으로 인간 삶의 질 향상과 자아 발전, 나아가 사회발전을 위해 태교에서부터 시작해 생을 마칠 때까지 지속적으로 학습할 필요와 권리에 대응해 학습할 수 있는 기회와 장을 제공하는 평생교육 선상의 한 지점으로 보아야 한다.


 

현재의 독일 교육의 기틀이 마련된 1950년대 말,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지식기반 경제로의 변모로 말미암아 기존 제도 교육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었던 여성, 노인, 비정규 고용인력에 대한 교육 수요 증가와 더불어, 급변하는 정보화 기술에 적응할 지속적인 교육의 요구가 발생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자아실현을 강조하는 의식변화와 생활양식의 변화, 그리고 상인 및 노인 세대의 사회적 지위 변화에 따른 인식 변화에도 부응한 것이었다.

 

즉 독일 평생교육 정책 마련의 배경은 ‘계속 교육’이라는 교육정책 목표 아래, 대학교육 및 직업교육이 끝난 25세에서 64세까지의 인구를 위한 형식과 비형식을 가리지 않는 여러 형태의 교육서비스에 교육력 취약 집단의 참여율을 현저히 늘려 국민의 지속적인 교육 참여를 끌어내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독일의 평생교육은 시민 의식 고취를 목적에 두기보다 모든 국민이 평생교육이라는 틀 안에서 다양한 교육 혜택을 평등하게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50플러스 세대를 위한 교육 역시 평생교육의 틀 안에서 이루어진다. 장노년층이 청소년기, 청년기, 중년기를 거쳐 쌓아온 지식과 경험은 정보와 지식을 익힐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해 왕성하고 지속적으로 사회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 그 골자다.

 

또한 초·중·고등학교와 같은 의무교육을 제외한 공적·사적 교육 기관을 연령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하게 함으로써 세대간의 격차를 줄이는 사회 통합의 기회로도 활용한다. 이는 50플러스 세대가 은퇴 이후 사회적으로 고립되지 않도록 하는 하나의 방편이 되고 있다.


 

독일 성인 교육의 흐름

노인교육, 노년기교육, 노인아카데미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는 독일의 성인교육의 역사는 1950년대 말, 독일이 경제적 부흥기를 경험하고 있을 때 그 토대가 마련되었다. 초기에는 노인학이나 성인교육의 일부로 전개되었으며, 당시 교육의 목적은 생산 현장에서 은퇴한 노인들에게 소일거리를 제공하는 등 단순히 흥미 위주로 고령 실업자의 생활고를 집중한 것이었다. 은퇴 이후 수입이 없을 때를 대비한 조기 은퇴 교육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곧 은퇴세대의 정신적 붕괴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한 오락이나 휴식을 위한 교육은 충분하지 않으며 노인의 학습권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일부 학자들은 노년기에도 노인의 평생학습과 잠재력의 발달이 계속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면서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되는 노년의 자신감 향상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1970년대의 시니어교육은 1950, 1960년대보다 범위가 확대되고, 정책으로 지정된다. 대학에 성인 교육을 위한 학과가 개설되었으며 교육 개혁에게 노인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문제도 이 시기에 제기되었다. 그러나 70년대 노인교육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소수의 엘리트 계층만이 노인 교육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성인교육에서 노인 문제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수 모델을 개발하고 학습자의 참여율을 확보하는 등 현실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를 가속화시켰다.


 

70년대에 이루어진 교육기회 균등 분배에 대한 문제 제기와 논의 덕분에 80년대에는 노인교육이 본격적으로 체계화되고 다양화되었다.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독일 대학교가 일반 강의를 시니어 세대에 개방한 것으로, 이는 이후 독일 노인교육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대학은 정기적으로 노인들을 위한 청강 프로그램을 제공했고 일부대학에서는 일반학생과 동일하게 학점을 취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했다.

 

독일의 대학이나 시민 대학에서 제공하는 특수 강좌들은 점점 더 세분화되어가는 시니어 세대의 관심사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된다. 대학과 시민 대학이라는 공적 기관을 통해 전세대가 교육의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1974년에 개정된 연방사회보조법 또한 노인의 경제, 신체, 정신, 사회적 상황의 질적 향상에 목표를 둠으로써 은퇴한 시니어 세대의 경제적 상황의 개선뿐이 아니라 그들이 사회에서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보장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김창규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건강 스포츠 문화 이슈

동영상 뉴스

포토뉴스

건강뉴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