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경험이 있는 사람이 다시 농촌으로 회귀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또한 자연환경, 정서적 여유, 농업의 비전 등 대부분 자발적인 이유로 귀농·귀촌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가 12일 발표한 귀농·귀촌 실태에 따르면 중장년층은 자연환경이 좋아서(28.0%),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16.6%), 도시생활의 회의(14.1%), 본인이나 가족의 건강(10.8%) 등의 이유로 귀농을 선택했다. 귀촌의 경우 중장년층은 자연환경이 좋아서(25.8%), 본인이나 가족의 건강(14.9%), 도시생활 회의(13.9%), 정서적인 여유(13.1%) 순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 10가구 중 6가구는 귀농·귀촌 생활에 만족했으며, 3가구는 보통, 1가구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만족으로 응답한 가구의 주요 불만족 이유로는 귀농은 자금부족(30.0%), 영농기술·경험부족(23.7%) 순으로 높았고, 귀촌은 영농기술·경험부족(53.0%), 자금부족(29.1%) 순으로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귀농 가구는 귀농 준비에 평균적으로 27.5개월의 준비 기간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 귀촌 가구의 19.7%는 귀촌 이후 5년 이내에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19.2%는 농업경영체에 등록, 0.5%는 등록 없이 영농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귀촌 가구의 농업경영체 등록 시기는 귀촌 2년차에 평균 78.3%로 가장 많았고, 3년차 10.8%, 4년차 7.0%, 5년차에 1.1%로 나타났다. 이는 현행 귀농어·귀촌 통계조사에서는 귀농 가구에 포함되지 않지만 상당수의 귀촌가구가 지역여건 탐색 및 영농기반 마련 등 준비기간을 거쳐 농업에 유입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귀농 전 평균 가구소득은 4,232만 원이나, 귀농 1년차에는 2,319만 원에서 5년차에 이르러 3,898만 원까지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귀농 5년차의 평균소득(3,898만 원)은 농가 평균소득(3,824만 원)을 넘어서는 것이다. 귀농 가구의 주재배작목 선택 이유로는 재배의 용이성(43.1%), 높은 소득(19.7%), 주변인 권유(14.6%) 순으로 나타났으며, 재배면적 비중은 과수(23.2%), 노지채소(19.2%), 시설채소(14.9%), 논벼(14.3%) 순으로 조사되었다.
귀농 가구의 43.1%는 농업소득 부족 등의 이유로 농업외의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촌 가구의 87.2%는 직장 취업, 자영업, 농업 등으로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귀농·귀촌인들은 귀농·귀촌 전에 자영업, 사무직, 생산·기능직 등 농업과 무관한 다양한 경력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농 가구의 농외 경제활동의 어려움으로 시간(22.9%)·능력(19.0%)·정보(17.5%)·자본(16.9%) 부족을 꼽았고, 귀촌 가구는 경제활동의 어려움으로 정보(17.6%)·능력(17.4%)·지역 내 인프라(15.7%)·시간(11.8%)·자본금(11.3%) 부족 등으로 조사되었다. 월 평균 생활비는 귀농가구 196만 원, 귀촌가구 213만 원이며 주로 식비, 주거·광열·수도·전기세, 교육비 순으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거주지역 선택 이유로는 부모·친척이 살고 있는 연고지가 가장 높고, 이전에 살던 곳 근처, 자연환경 우수 등으로 조사되었다. 거주 주택으로 농가주택을 포함한 단독주택이 가장 많고, 아파트·연립주택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초기 주택 점유는 자가, 전월세, 지원 정책 활용(마을 내 빈집, 귀농인의 집 등 임시거주) 순으로 나타났다.
귀농가구의 66.7%, 귀촌가구의 27.8%는 온·오프라인, 선도농가 인턴십 등 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5년차가 된 2012년 귀농자를 분석한 결과, 오프라인 귀농 교육 경험자의 귀농 첫 해와 5년차 농업소득 증가폭(1,523만 원)이 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귀농인(685만 원)보다 훨씬 높게 조사되어, 귀농 교육이 농업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인들은 인간적인 교류, 영농기술·장비 도움, 마을일·모임 참여 활동 측면에서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다고 응답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주민과의 관계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귀농 2.0%, 귀촌 1.7%로 나타났으며, 응답자가 느끼는 주요 갈등요인으로는 선입견과 텃세, 집이나 토지 문제,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충돌 등으로 조사되었다.
귀농·귀촌인들의 지역별로 지역민과 관계척도 조사결과, 전남(5점 척도 기준 4.02), 전북(4.01) 순으로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가 좋은 지역일수록 지역주민·마을과의 관계만족도와 지역 활동 참여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귀농·귀촌인들이 참여하는 지역활동으로 마을 회의·행사가 가장 많았으며 지역단체, 귀농귀촌인 모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인들은 거주지에 확충되어야 하는 공공서비스로 문화·체육서비스를 가장 많이 꼽았고, 취약계층 일자리, 임신·출산·양육지원, 노인돌봄서비스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귀농가구의 경우, 문화·체육서비스(30.0%), 취약계층 일자리(17.1%), 노인돌봄서비스(15.8%), 교통서비스(12.0%)로 나타났고, 귀촌가구의 경우, 문화·체육서비스(32.3%), 임신·출산·양육지원(16.5%), 노인돌봄서비스(13.7%), 취약계층 일자리(12.7%)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9조에 근거해 2016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했으며, 조사전문기관인 ㈜한국갤럽을 통해 최근 5년간 귀농·귀촌한 2,507가구(귀농 1,257, 귀촌 1,250)를 대상으로 직접 방문 조사했다. 조사대상 2,507가구는 통계청에서 보유한 최근 5년간 귀농·귀촌한 161만 가구를 모집단으로 활용해 지역, 이주 년도, 연령 등을 고려한 층화추출 방식으로 표본 추출했으며, 표준오차는 95%, 신뢰수준은 ±2.8%p 이다.
글=김병헌 기자(bhkim4330@hanmail.net)
ⓒ 시니어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