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중소기업 직장맘 고충듣기에 나서

저출산·고령사회 로드맵에 포함된 정책 추진 위한 간담회 개최

입력 2019년02월20일 18시41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서울특별시는 중소기업 직장맘의 일·생활 균형을 위해 직장맘과의 간담회를 20일에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일·생활 균형에 특히 취약한 중소기업 직장맘의 고충을 청취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이다.

 

그간 정부는 여성의 출산 이후 경력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지난 3년간 116조7,5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왔으나, 경력단절 여성의 비중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어, 예산 투입 대비 성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계속 제기되어 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99%인 중소기업 여성근로자의 경우 경력단절 여성의 비중이 78.2%에 달해 대기업(54.8%), 공공기관(26.9%)근로자에 비해 3배나 높게 나타났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우 현실적으로 육아휴직, 근로시간 단축 제도 등의 활용이 여의치 않고, 특히, 초등학교 1학년 입학기 자녀 돌봄으로 인한 2차 경력단절 등의 어려움에 처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번 간담회 대상은 주로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에서 밀착상담지원 등 각종 서비스를 받은 중소기업 직장맘으로, 임신 후의 경력단절, 아이 돌봄의 고충 등 중소기업 직장맘의 고충을 토로하였다.

서울시 직장맘지원센터
 

창원에서 올라 온 직장맘은 직접 저출산위원회에 편지를 보내온 사연으로 “육아휴직 후 복직했으나, 사무직에서 계산원으로 직군도 변경되고, 둘째 임신 사실을 알린 후 회사 분위기상 직장을 나올 수밖에 없었다”며 둘째 출산 후 재취업을 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밝혔다.

 

또, 초등입학기 자녀를 둔 직장맘은 자녀 돌봄으로 근무시간 단축이나 유연근무제를 쉽게 활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김상희 저출산위 부위원장은 “전체 기업의 99%에 해당하는 중소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장맘의 경력단절을 예방하는 것이 저출산 해결의 중요한 열쇠”임을 강조하면서, 오늘 간담회에서 주신 고충은 하나하나 허투루 듣지 않고 중소기업 근로자가 일과 육아를 병행 할 수 있도록 각종 대책을 세심하게 챙기겠다“고 하였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제도가 있음에도, 중소기업·비정규직 등은 여전히 제도 활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근로자가 체감하는 직장문화의 변화도 미흡한 것이 현실”이라면서, “오늘 직장맘들의 고충과 제안내용들은 향후 출산휴가·육아휴직 등 모성보호와 일·가정 양립 제도 개선에 적극 반영하고, 취약사업장에 대한 근로감독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은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는 사전에 경력단절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여성가족부에서는 새일센터를 통해 심리·노무상담, 멘토링, 경력경로 설계 등 직장맘의 경력단절 예방지원을 확대”한다고 알리면서, “특히 직장맘들이 근무와 육아를 병행할 수 있도록 만12세 이하 자녀 가정 대상 아이돌봄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아이돌보미를 올해 7,000명 확충해 장기간 대기를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서울시는 2012년 전국 최초로 직장맘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기 시작해 햇수로 8년, 센터는 3곳까지 늘었다. 앞으로 출산휴가·육아휴직 관련한 노무상담, 커뮤니티사업 외에도 센터 특성화 사업을 적극 발굴하고, 직장맘뿐 아니라 프리랜서나 자영업자 등 일하는 모든 여성으로 확대해 일·가족 양립의 사회문화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했다.

 

글=안경희 기자(jyounhea@naver.com)

ⓒ 시니어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안경희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건강 스포츠 문화 이슈

동영상 뉴스

포토뉴스

건강뉴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