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를 22일 공동으로 발표한다고 밝혔다.
2017년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2만9,262건으로 11년 전인 2006년보다 50% 이상 증가했고, 2015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추세에 있다. 환자 중 남자 비율은 64~65%로서, 여자보다 약 2배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심장정지가 발생하는 주원인은 ‘질병’에 의한 것으로, 전체 발생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질병 중에는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부전으로 인한 것이 95% 이상이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이며, 전체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급성심장정지 생존율 및 뇌기능회복률 추이(2006-2017)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2017년 생존율은 8.7%, 뇌기능 회복률은 5.1%로 2006년 대비 각각 3.8배, 8.5배 증가했고, 2016년에 비해서도 향상된 결과이다.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이 증가하는 긍정적 변화도 있는 반면에, 지난 11년간 생존율의 지역간 차이는 2배 증가했다. 또한 뇌기능 회복률의 지역간 차이는 2017년에는 전년보다 감소했으나, 전반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한편, 심폐소생술의 일반인 시행률은 매년 증가 추세로, 2017년에는 9년 전에 비해 약 11배 증가했고, 지역간 시행률 격차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추이 및 격차(2008-2017)
이 같은 조사 결과 공유와 함께 생존률 및 심폐소생술 시행률 변화를 짚어보며, 지역 간 격차를 극복하고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22일 ‘제7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공동으로 개최한다.
심폐소생술 국민운동본부 하정열 이사장은 “환자 발견 시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도록 하고, 심장정지가 가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우리 모두가 심폐소생술에 관심을 갖고 익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가 심장정지 조사·감시 자문위원회장인 오동진 교수(한림의대 심장내과)는 “급성심장정지조사는 정부의 노력과 의료기관의 협조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국가조사통계지표를 생산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해서 관련 인프라 개선과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글=남정식 기자(rlaqudgjs930@naver.com)
ⓒ 시니어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