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5조8,232억 원으로 2016년(5조6,025억 원) 대비 3.9%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해마다 평균 8.4%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7년 의료기기 수출은 31억6,000만 달러(3조5,782억 원)로 2016년 29억2,000만 달러(3조3,883억 원) 대비 8.2% 늘어났으며, 수입은 35억 달러(3조9,529억 원)로 전년 31억5,000만 달러(3조6,572억 원) 대비 11.1% 증가해 무역적자는 3억3,000만 달러(3,747억 원)로 2016년(2억3,000만 달러, 2,689억 원)에 비해 43.5% 증가했다.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의 특징은 급속한 고령화로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면서 치과용 임플란트, 성형용 필러 등의 관련 제품 생산·수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전년(5조6,025억 원) 대비 3.9% 늘어난 5조8,232억 원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8.4%이다. 또한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6조1,978억 원으로 2016년(5조8,713억 원)에 비해 5.5% 증가했으며, 매년 평균 성장률도 7.6%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치과용 임플란트(8,889억 원) 생산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4,951억 원), 성형용 필러(2,066억 원) 순이었다. 치과용 임플란트 생산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은 인구 고령화와 치과용 임플란트 건강보험적용 확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제조업체로는 오스템임플란트(주)(6,890억 원), 삼성메디슨(주)(2,808억 원), 한국지이초음파(유)(1,524억 원) 순이었으며, 상위 10개사가 전체 생산의 29.9%(1조7,393억 원)를 차지했다. 의료기기 업체 종사자는 2016년(7만7,885명) 대비 13.3% 증가한 8만8,245명이었으며, 관련 산업 성장에 맞추어 고용창출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의료기기 수출이 가장 많았던 품목으로는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6,226억 원)였으며, 치과용 임플란트(2,296억 원), 성형용 필러(2,124억 원), 매일착용소프트콘택트렌즈(1,728억 원)가 뒤를 이었다. 특히 수출 상위 30개 품목 중 전년 대비 수출이 크게 늘어난 품목은 성형용 필러제품으로 2016년(1,613억 원) 대비 35.6% 증가했으며, 이는 중국 성형시장이 성장하면서 중국으로 수출이 급증(39.7%)한데 따른 것이다.
또한 치과용 임플란트도 2017년 2,296억 원으로 전년(1,938억 원) 대비 21.6% 증가했으며, 수출 상위 30개 국가 중 러시아(53%), 중국(14%)으로 수출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압박용 밴드와 같은 1등급 의료기기 수출은 2016년 3,249억 원에서 2017년 2,601억 원으로 감소한 반면 인공엉덩이관절 등 기술력이 요구되는 고부가가치인 4등급 제품은 2016년 2,669억 원, 2017년 3,166억 원으로 수출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가별로는 미국(5,785억 원), 중국(5,751억 원), 독일(2,689억 원) 순이었으며, 수출 상위 15개 국가 중 2016년 대비 수출 증가율이 큰 국가로는 인도네시아(41.8%), 러시아(30.2%), 인도(28.4%)였다. 업체별로는 한국지이초음파(유)(3,053억 원), 삼성메디슨(2,488억 원), ㈜에스디(1,470억 원) 순으로 수출이 많았으며, 상위 10개사가 전체 수출의 35.4%(1조2,665억 원)를 차지했다.
식약처는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 자료를 통해 의료기기 안전관리 및 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등 첨단 기술이 접목된 의료기기 등 우수한 의료기기가 생산·수출될 수 있도록 기술적·제도적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글=남정식 기자(rlaqudgjs930@naver.com)
ⓒ 시니어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