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올 한해 총 1,34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전년 동기 대비 7.1%(4,000여 명) 증가한 약 5만8,412명의 어르신에게 일자리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시는 공익활동, 시장형, 인력파견형 등 3가지 유형의 공공 일자리 사업을 운영하여, 어르신의 생활안정과 사회참여 욕구에 대응하였으며 기존 복지사업의 틈새를 채우는 사회서비스 분야 일자리를 대폭 확대 했다고 설명했다.
공익활동은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가 노노케어, 취약계층 지원 등 지역사회 공익증진을 위한 활동에 월 30시간 이상 참여하고 27만 원의 수당을 받는다. 시장형은 만 60세 이상 어르신이 수익 창출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고 인건비를 지원받으며, 인력파견형은 민간 일자리 구직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아울러 시는 공익활동 수당을 2016년 20만 원에서 2017년 8월부터 27만 원으로 7만 원 인상하여 소득 보전 기능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해 시범사업으로 운영하였던 시각장애인 지하철 안내도우미 사업을 2016년 38개 지하철역, 총 548명에서 2017년 83개 지하철역, 총 1,759명으로 확대하였다. 시각장애인 지하철 안내도우미 사업은 만 65세 어르신이 2인1조로 시각장애인의 지하철 탑승이나 목적지 안내 등을 돕는 사업이다.
2호선 홍대입구역에서 안내도우미로 활동한 정00 어르신(79세 남)은 “평소 시각장애인들이 지팡이를 짚고 다니는 줄도 몰랐고, 도움이 필요한 분들을 관심 있게 도와드린 적도 없었는데 지금은 이 나이에 누군가의 눈이 되고 길 모르는 이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는 것에 자긍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동네에 거주하는 어르신이 아이를 돌보는 ‘우리동네 아이돌봄 기동대’를 2016년 70명에서 2017년 90명으로 확대하여 긴급한 일이 생긴 부모가 마음 놓고 아이를 맡길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호응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어르신이 취약 어르신을 방문하여 말벗 등 친구가 되어주는 ‘노노케어’, 아동복지시설 입소 아동을 돌보는 보육교사 도우미 등 복지의 빈틈을 메우는 사회서비스 일자리 사업 등을 중점 추진하였다.
한편 50+세대(장년층) 50명을 ‘어르신일자리 코디네이터’로 양성하여 일자리 현장에 배치하고 장년세대의 경험과 전문성이 어르신 일자리 질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사회적협동조합 등 일자리 수행기관 확대와 참신한 일자리 모델을 발굴하고자 지난 5월 어르신일자리 사업설명회 및 공모를 진행하여 총 9개 기관 8개 신규 사업을 선발하였다. 이를 통해 ‘어르신 체험지도사 프로그램’, ‘워킹맘·한부모 가사지원사업’, ‘꿈꾸는 다육이(다육식물 재배 및 판매)’. ‘장 체험관 및 장 카페 운영’ 등 다양한 시범사업을 운영하였으며, 평가를 통해 2018년 계속 사업을 선정할 예정이다.
한편 노인일자리 지원기관인 ‘시니어클럽’을 2012년 이후 최초로 영등포구와 강동구에 각 1개소 씩 확충하여, 지역별 특색에 맞는 일자리 사업 추진을 위한 기틀을 마련했다. 아울러 서울시는 급속한 고령화 및 4차 산업혁명 등 사회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어르신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확대 기반을 마련하고자 지난 5월부터 공공, 민간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어르신일자리 민관협의체’를 운영했다고 밝혔다. 변화하는 어르신의 일자리 욕구에 맞춘 일자리 모델을 개발하고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왔으며 내년 중 구체적 실행계획을 마련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2018년 서울시는 올해보다 31% 증액된 예산 1,761억 원을 투입, 어르신들에게 더 많은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방침이다.
김용복 서울시 복지본부장은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기존의 단순노무 뿐만 아니라 경력과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 모델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며 “서울시는 이러한 시민들의 욕구에 발 빠르게 대응하여 틈새 일자리 모델 개발과 확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글=김병헌 기자(bhkim4330@hanmail.net)
ⓒ 시니어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