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혼자 술을 즐기는 ‘혼술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혼술 시에는 도수가 낮은 맥주를 주로 마셨고 혼술족의 40% 가량은 고위험음주량 이상을 마신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달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20∼40대 국민 중 최근 6개월 내 주류 섭취 경험이 있는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혼술’ 실태 조사결과를 12월 23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자의 66.1%는 혼술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 중 6개월 전보다 혼술이 늘었다는 응답자는 25.5%였다. 이는 1인 가구가 급증하면서 의식주를 모두 혼자서 해결해야 하는 생활상이 음주문화에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1인 가구 비율은 1990년 9.0%(102만 명)에서 2015년 27.2%(520만 명)로 늘었다. 혼술 시에는 도수가 낮은 맥주를 주로 마셨고, 소주, 과실주, 탁주, 위스키가 그 뒤를 이었다. 주종별 1회 평균 혼술 음주량은 맥주(200ml) 4잔, 소주(50ml) 5.7잔, 과실주(100ml) 2.6잔, 탁주(200ml) 2.7잔, 위스키(30ml) 3.1잔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20~30대에 비해 소주 등 도수가 높은 술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혼자 술 마실 때는 여럿이 마실 때보다 음주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응답자 37.9%는 혼술 시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시한 고위험음주량 이상을 마셨다. 여성(40.1%)이 남성(36.1%)보다 고위험음주량 비율이 높았다.
WHO가 제시하는 고위험음주량 기준은 순수 알코올 양으로 남자 60g, 여자 40g 이상이다. 도수 4.5%인 맥주(200ml)를 기준으로 남자 8.3잔, 여자 5.6잔, 도수 17%인 소주(50ml)를 기준으로 남자 8.8잔, 여자 5.9잔 이상이면 고위험에 해당한다.
혼술 이유는 ‘편하게 마실 수 있어서’(62.6%)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서’(17.6%), ‘함께 마실 사람이 없어서’(7.7%), ‘비용 절감을 위해서’(5.2%) 순이었다. 혼술 장소는 집(85.2%)이 대부분이었으며 주점·호프집(7.2%), 식당·카페(5.2%) 순으로 나타났다. 혼술 시 우려되는 부분은 건강(27.4%), 대인관계(14.2%), 음주량 조절(13.6%) 등이었다. 주로 먹는 안주는 과자류(40.9%), 육류(고기·소시지 등)(33.0%), 건포·견과류(26.7%) 순이었고, 안주를 먹지 않는다는 응답도 8%에 달했다.
응답자 69.4%는 송년회 계획이 있으며 이 중 93.2%는 술을 마시겠다고 답했다. 음주 차수 계획은 1차 31.3%, 2차 57.3%, 3차 이상이 11.4%이었다. 또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시행 후 음주문화가 달라졌거나(13.6%), 달라질 것(66.2%)이라는 응답이 79.8%로 나타났다.
식약처 관계자는 ”혼자 술을 마시면 음주량을 자제하기 어렵고 자주 마실 수 있으므로 음주 빈도와 음주량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또 “연말연시를 맞아 송년회, 신년회 계획이 있는 경우 건강을 생각해 가급적 WHO가 제시하는 적정 섭취 권고량을 기준으로 음주할 것”을 당부했다.
글=박희숙 기자(smkim2487@hanmail.net)
ⓒ 시니어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