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 빅데이터 자료를 분석하여 방광염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여 2010년 143만 명에서 2015년 160만 명으로 5년간 17만 명 증가하였다. 성별에 따른 진료인원을 비교해보면, 남성은 2010년 9만1,000명에서 2015년 9만4,000명으로 5년간 3,000명 증가(3.1%↑)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은 2010년 133만9,000명에서 2015년 150만2,000명으로 16만3,000명이 증가(12.2%↑)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연령대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50대(34만8,000명, 21.8%)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40대(32만1,000명, 20.1%), 30대(24만2,000명, 15.1%)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은 50대(33만4,000명, 22.2%)가 가장 많았으며, 40대(30만9,000명, 20.6%), 30대(23만1,000명, 15.4%)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9세 이하를 제외하고 50대(1만3,000명, 14.3%)가 가장 많았고, 40대(1만2,000명, 12.9%), 60대(1만2,000명, 12.8%)순으로 여성과 마찬가지로 중년층(40~50대)에서 많은 진료를 받았다. 2015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3,162명으로 남성 372명, 여성 5,982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6.1배 가량 더 많았다. 여성 연령별로 살펴보면, 50대가 8,234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60대가 8,115명, 70대 8,064명 순이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기과 이석영 교수는 50대 여성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보통 폐경 이후 인 50대 이후 방광염의 발병이 증가하는데 이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감소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에스트로겐은 질내 정상균종인 락토바실라이(젖산균)증식과 밀접한데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 분비감소로 인해 젖산균의 증식이 억제되어 병원성 대장균의 과증식을 막지 못해 방광염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폐경 이후 요실금과 같은 배뇨장애도 호발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축축한 음부 환경이 피부감염을 통한 방광염의 빈도가 증가 시킬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방광염 질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0년 1,003억 원에서 2015년 1,277억 원으로 274억 원이 늘어 2010년 전년대비 27.3% 증가하였다. 입원진료비는 2010년 66억 원에서 2015년 102억 원으로 55.5% 증가하였고, 외래는 같은 기간 533억 원에서 715억 원, 34.0% 증가, 약국은 403억 원에서 460억 원으로 13.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광염이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의해 생기는 방광점막 및 점막하 조직에 염증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대개 빈뇨나 요절박 등의 방광자극증상과 치골상부동통이나 배뇨통 등을 호소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이런 방광염 환자 중 약 40% 정도에서는 혈뇨가 동반되기도 하며 성인 여성, 특히 성적으로 활동적인 여성과 폐경 후 여성에서 주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요로감염증이다.
방광염의 재발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예방적 항생제 투여 등의 약물치료 이외 성관계 후 배뇨, 살균제 사용의 자제, 소변의 산성화를 위한 크렌베리쥬스의 음용, 특수 예방약의 복용 등이 있다. 또한 적절한 신체 저항력은 방광염의 재발과 증상악화를 예방시킬 수 있는데 이에 적절한 수면과 과도한 스트레스 등을 피하는 것도 도움이 되고 요실금과 같은 폐경 후 쉽게 볼 수 있는 배뇨장애를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도 방광염의 재발을 억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