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경기도내 시니어 학대 가해자는 주로 40~50대 아들·딸

중앙정부, 광역지자체, 기초지자체 역할 통해 시니어 학대 예방해야

입력 2016년02월17일 12시40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28일 경기복지재단에 따르면 경기도내 노인학대 가해자는 주로 40~50대 아들, 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복지재단은 2014년 도내 3개 노인보호전문기관에 접수된 학대 신고 428건의 사례를 활용해 노인학대 실태를 분석하고 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분석결과, 경기도 학대 피해 노인은 주로 70(73.5) 여성(71.3%)으로, 교육수준은 낮고(초졸 이하 66.1%), 대부분이 무직(92.1%)이며 사별한 경우가 절반(46%)을 차지했다.

 

가족구성 형태별 노인 학대는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가 33.4%로 가장 높았고, 이 경우 발생한 학대 유형은 신체적·정서적 학대가 대부분이었다. 노인단독가구에서 발생한 학대가 26.9%로 다음으로 나타났고 학대 유형은 방임인 것으로 분석됐다.

 

노인학대 주 행위자는 연령대별로는 50(31.3%), 40(23.9%)가 많았고, 성별로는 남성이 64%, 여성 36%로 나타났다. 주 행위자가 남성인 경우 학대 노인과의 관계는 아들(60.8%)이 가장 많았고, 여성인 경우는 딸(55.2%)이 가장 많았다. 학력수준은 고졸 이상(67.8%)이고 10명중 1명은 알코올중독자이며 52.1%가 중산층 정도의 소득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학대 유형을 살펴보면 신체적 학대(37.4%), 정서적 학대(22.8%), 방임(22.5%)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학대 장소는 85%가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대발생빈도는 매일42.1%로 가장 높고 ‘1주일에 1회 이상28%로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학대 지속기간은 ‘1년 이상 5년 미만34.3%로 노인 학대가 장기적이고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단은 노인학대 예방과 대응을 위해서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노인학대예방을 위한 법률 제정, 촘촘한 노인보호전문기관의 설치, 노인학대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개선 노력을 해야 하며, 광역지방정부는 노인학대 피해자에 대한 주거 공간 제공, 노인학대 예방 장기 계획 수립, 기초지방정부는 지역 내 유기적인 협조 체계 구축, 학대 재발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지원책 수립, 노인학대 예방 사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박인수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건강 스포츠 문화 이슈

동영상 뉴스

포토뉴스

건강뉴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