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1인당 총소득(GNI)이 근 70년 만에 420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액은 전 세계 수출 총액의 3.1%를 차지하며 세계 6위 규모로 올라섰다.
통계청이 8월 10일 발간한 통계로 본 광복 70년 한국사회의 변화 책자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은 1953년 477억 원에서 2014년 1,485조 원으로 3만1,000배 이상 증가하면서 세계 13위로 올라섰다. 1인당 GNI는 같은 기간 67달러에서 2만8,180달러로 420배 가량 증가했다.
중앙정부, 지방정부, 기금을 합친 일반 정부의 GDP 대비 총지출 규모도 1970년에는 20%에서 지난해 32%로 증가했다. 1964년 1억 달러에 불과했던 수출은 지난해 5,727억 달러로 세계 6위 수출국으로 올라섰다. 수출품은 1960년대에는 철광석, 1970년에는 섬유류, 1980년대에는 의류가 1위였다가 1992년부터 반도체가 1위로 올라섰다.
경상수지는 1990년대 중반까지 적자 기조를 보이다가 1998년 이후부터 흑자 기조로 전환됐다. 외환보유액도 지난해 말 3,636억 달러로 외환위기이던 1997년 204억 달러보다 18배나 증가했다.
1953년 48.2%이던 농림어업 비중은 지난해 2.3%로 감소했다. 이 과정에서 중화학공업육성정책으로 자동차는 세계 5위, 선박 건조량은 세계 2위, 철강 생산량은 세계 6위에 달하는 등 제조업 비중이 지난해 30.3%에 달했다.
서비스업은 1980년대 이후 비중이 크게 증가하면서 지난해 59.4%를 차지했다. 1997년 말 396.3%에 달했던 제조업 부채비율은 2013년 92.9%로 대폭 줄었다. 남성 경제활동참가율은 1963∼2014년 78.4%에서 73.7%로 감소한 반면에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37.0%에서 51.1%로 증가했다.
제조업 월평균 근로시간은 1970년 232시간에서 지난해 186.7시간으로 감소했다. 노동조합 조직률은 1977년 25.4%에서 2013년 10.3%로 줄어들었다. 소비자물가는 2014년이 1965년보다 36배 높았다.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한국의 총인구(내국인)는 1949년 2017만 명보다 2.4배 늘어난 약 4,799만 명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숫자는 2013년 158만 명에 달했는데 이는 1948년 2만 명에 비해 79배 증가한 것이다. 해외관광이 크게 늘면서 1988년 처음 10억 달러를 넘은 내국인 여행경비는 2014년 현재 200억 달러에 근접하고 있다.
1946년 약 1,000대에 불과하던 승용차 등록대수는 지난해 총 1,575만 대로 급격하게 늘었다.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은 1963년 37%에서 2014년 51.1%로 증가, 제조업 월평균 근로시간은 1970년 232시간에서 2014년 187시간으로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