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치주질환’ 환자 치과 방문 급증

지난해 7월 스케일링 건강보험 적용 확대 후 증가

입력 2014년11월16일 12시40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치은염 및 치주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3년 기준, 진료인원은 1,083만 명(건강보험 적용인구의 21.7%)이며, 건강보험 진료비는 7,469억 원(건강보험 진료비의 1.5%)으로 나타났다.

 

진료인원은 2009742만 명에서 20131,083만 명으로 연평균 9.9%, 진료비는 20094,020억 원에서 20137,469억 원으로 연평균 16.7%로 증가했다. 전년대비 증가율의 경우, 2013년 기준 진료인원은 29.5%, 진료비는 38.5%로 나타나 이전년도(2012)와 비교해서 급격히 증가했다.

사진제공: 네모치과병원  

2012년과 2013년의 월별 진료인원은 201361073,000명에서 20137월에는 1714,000명으로 급증했다. 이는 20137월부터 성인을 대상으로 연 1회 스케일링(치석제거)에 대해 건강보험을 확대 적용하기 시작한 정책 영향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20137월 이전에는 추가적 잇몸치료 및 수술을 동반한 치석제거에만 건강보험이 적용되었으나, 20137월부터는 별도의 후속처치 없는 치석제거도 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20137월부터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치석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치과 방문인원이 급증하면서 치주질환 진료인원도 급증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3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비교해보면, 60대가 33,507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50(31,463), 70대 이상(25,867), 40(25,260) 순으로 50대 이상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의 연령대별 연평균 증가율을 비교해보면, 30대가 12.6%로 가장 높고, 다음은 40(9.0%), 20대 이하(8.2%), 50(7.1%), 60(6.2%), 70대 이상(5.0%) 순으로 나타나, 젊은 층의 증가율이 높았다.

 

치주질환은 치아를 둘러싼 잇몸과 그 지지조직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으로 치석 혹은 치태 내의 세균들이 근본원인이라 할 수 있다. 치석 및 치태가 증가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치은염에서 치주염으로 진행되는데, 2030대와 비교하여 5060대의 경우, 기본적인 구강관리로 쌓인 치태 및 치석 양이 많아서 치주질환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치주질환은 염증성 질환으로써 전신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심혈관계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과 같은 각종 전신질환 및 면역력 약화로 치주질환이 발생하거나 악화되기도 한다.

 

치은염이나 초기 치주염의 경우에는 스케일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중도의 치주염의 경우에는 치은소파술이라는 잇몸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고, 중증도의 치주염의 경우에는 잇몸을 열어서 치료하는 치은박리소파술을 받아야 한다.

 

이런 기본적인 치료 외에도 뼈의 흡수가 많은 경우, ‘조직유도 재생술이나 골이식술처럼 이식재를 이용하여 뼈나 치주조직을 재생하도록 유도해야할 수도 있다.

 

치주치료 후에는 주기적인 스케일링으로 치주관리를 하도록 한다. 치주질환이 심했거나 관리가 잘 안 되는 환자는 3개월에 한 번씩 내원하여 스케일링하고, 상태가 좋아질수록 6개월에 한 번씩 내원하여 관리 받도록 한다. 치주치료의 이력이 없거나 치은염 정도라면, 1년에 한 번씩 내원하여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주기적 스케일링도 중요하지만, 평소 개인적 구강위생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자신에게 맞는 방법으로 하루에 3번 이상, 한번에 3분 이상 칫솔질을 하는 것이 좋다. 잇몸 사이가 멀거나 음식이 많이 낀다면, 치간칫솔이나 치실 등의 보조용품 등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남정식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건강 스포츠 문화 이슈

동영상 뉴스

포토뉴스

건강뉴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