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9~2013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심장기능상실(심부전)’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09년 9만4,000명에서 2013년 11만5,000명으로 증가하였다.
2013년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230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성별로는 여성이 285명으로 남성 176명 보다 1.6배 가량 많았다.
사진제공: 이움내과
연령별로는 80세 이상이 3,171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70대가 1,431명, 60대가 485명 순으로 나타났다. 진료인원은 50대부터 많아지기 시작해 70대가 되면서 급격히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전동운 교수 “심부전이란 전신에 혈류를 공급하는 심장의 펌프 작용에 관련된 수축기 기능 또는 심장이 피를 받아들이는 이완기 기능의 장애로 원활환 전신 혈류 공급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원인은 매우 다양해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심장판막질환, 심근질환(확장성 심근염, 비후성 심근염, 제한성 심근염 등), 당뇨병, 조절되지 않는 갑상선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 등을 원인으로 꼽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만성 신부전증이나 말기 신장질환(ESRD)과 같은 다른 장기(기관)의 질환에서도 심부전이 같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심부전은 보통 30~40대에 최초 발생 후 10~20여년이 경과하는 시점인 50대부터 많아지기 시작해 연령이 높아질수록 중증 증상까지도 나타난다”고 덧붙였다.
2009~2013년 심장기능상실(심부전)로 인한 진료인원은 인구 10만 명당 연평균 4.5%씩 증가하였고, 증가율은 남성(연평균 증가율 7.1%)이 여성(연평균 증가율 3.0%) 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성은 40대에서 가장 크게 증가(연평균 증가율 7.1%)하였고, 그 뒤를 이어 30대에서 연평균 5.3%씩 늘었다. 여성은 80세 이상에서만 연평균 0.5% 증가하였고, 나머지 연령에서는 모두 감소하였다.
전동운 교수는 “관상동맥 질환,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심부전의 원인 질환은 30~40대부터 특히, 남성에서 발병하기 쉽고, 업무적인 스트레스나 높은 흡연율 등도 영향을 끼쳐 30~40대에서 해마다 진료인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심장기능상실(심부전)’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9년 718억 원에서 2013년 963억 원으로 1.3배 증가하였으며, 건강보험공단에서 지급한 2013년 급여비는 721억 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