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9일, 부산에서 1호 공영장례가 치러졌다. 주인공은 사하구에 거주하던 기초생활수급자 A씨(87세)이다. 생전 지병으로 장기 입원을 이어오던 A씨는 이웃과 교류 없이 무연고자로 쓸쓸히 생을 마감했다. A씨의 사연을 접한 사하구 생활보장과는 고인의 마지막을 위해 장의업체인 가족장의서비스와 의논해 부산시에 공영장례 지원을 요청했고, 시는 A씨를 1호 공영장례 대상자로 선정해 영락공원 내에 빈소를 마련했다.
무연고자인 A씨를 위해 상주가 된 가족장의서비스 정인표 대표는 “그동안 많은 무연고 사망자를 장례식도 없이 떠나보내야 해서 마음이 안 좋았는데, 시에서 지원받아 이렇게 장례를 치르고 고인을 떠나보낼 수 있어 다행이다”고 전했다.
부산시는 무연고자 및 저소득 시민을 대상으로 사망 시 장례서비스를 지원하는 공영장례를 지원한다. 이는 가족해체와 빈곤 등으로 장례를 치르기 어려운 무연고자와 저소득층에게 시가 빈소를 마련하고, 장례에 필요한 사항을 지원해 고인이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유지하고 유가족과 지인 등이 고인을 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공(公共) 장례이다.
실제 부산지역 무연고 사망자 수는 2019년 237명에서 2020년 345명, 2021년 369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동안 무연고자 시신 처리 등은 구·군에서 담당하고 있었으나 처리와 화장, 봉안 등 비용만 면제하는 수준에 그쳤다. 공영장례 조례는 16개 구·군 가운데 10개 구·군에서만 제정했으며 그마저도 예산을 지원하는 구는 6개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시는 부산광역시 공영장례 조례를 제정하고 지난 6월 30일, 부산영락공원에 전용 빈소인 부산광역시 공영장례실을 마련해 공영장례 추진 기반을 구축했다.
아울러, 예산 지원과 표준안 제시 등 컨트롤 타워로서 역할을 수행해 구·군마다 다른 지원내용을 통일하고 거주지와 관계없이 대상자들이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올해는 하반기 대상자를 200명으로 추산해 1억6,000만 원(1인당 장례지원비 80만 원)의 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다.
공영장례의 지원대상은 부산광역시 관내 사망자 중 ▲무연고자 ▲장례처리 능력이 없는 저소득 시민(유족이 미성년자, 장애인, 75세 이상 어르신만으로 구성) ▲그 밖에 공영장례 지원이 필요하다고 시장 또는 구청장·군수가 인정하는 경우이다. 사망자가 발생하면 구·군에서 직권 또는 신청을 통해 대상자를 결정해 24시간 이내에 전용 빈소에서 장례 의식(1~2일장)을 치르게 된다. 부산시설공단은 언제든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영락공원 내 1층 사무실 입구에 기존 공간을 활용해 제단과 조화 등을 마련했다.
이해성부산시설공단 이사장은 “공영장례실을 특별히 정성을 다해 마련했다”며 “고인이 마지막 가시는 길에 외롭지 않게 영면에 들게 하도록 최선을 다해 모실 것”이라고 전했다.
시는 하반기에 관련 예산을 확보해 공영장례 예산이 편성되지 않은 구·군의 저소득 시민들도 희망 시 거주지와 가까운 곳에서 장례를 치를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최근 가족해체 및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시신 인수를 포기하거나 연고자가 없는 무연고 사망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며 “이런 분들이 장례나 추모 절차 없이 바로 화장되지 않고, 인간으로서 존엄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부산시가 되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글=이충렬 기자(rlaqudgjs883@naver.com)
ⓒ 시니어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