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하철역, 복지시설 등 서울시내 163개 다중이용시설과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이 생활하는 노인요양시설 200여 곳 등 화재나 재난사고가 발생하면 큰 피해로 번질 수 있는 취약시설을 대대적으로 점검한다.
사진제공: 서울시청
시는 매년 해오고 있는 안전점검에 더해 특히 이번 점검은 각 자치구, 소방서 등과 합동점검팀을 꾸려 시설물 관리 실태와 비상사태 대응체계를 더욱 꼼꼼하게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에 앞서 시 또는 자치구의 자체 감사에만 의존하기엔 한계가 있었던 취약 분야를 합동 점검해 감사효율을 높인다는 계획으로 지난 1월 21일 ‘시·구 감사협의회’를 출범시키고 이번 합동점검팀의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안전감사로 그 첫 발을 내딛게 됐다.
지금까지 시에서 주요시설물 관리부서에서 자체적으로 소방서, 도시가스 등과 협조해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경우는 종종 있었지만, 시 감사부서와 자치구, 소방서 등이 합동점검을 펼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노량진 건설공사장 인명사고, 서울대공원 사육사 사망사고 등에서 보듯 아직도 안전불감증이 사회 곳곳에 남아있고, 지난 5년간 평균 5,700여 건의 화재로 매년 239명의 인명피해와 166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사고 예방 차원에서 이번 합동감사를 실시하게 됐다고 시는 설명했다.
2012년 소방시설 관리자 등이 자체 점검한 결과에 따르면 아직도 잦은 고장, 오작동 등 소방시설 불량률이 38.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에도 수십만 명이 이용하는 지하철역사와 장애인·청소년 복지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안전감사는 2월 12일부터 28일까지 소화기 위치 및 작동 여부, 피난구유도등, 방독면 구비 여부, 비상방송설비 등 시설물 관리 실태와 화재 등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대응체계를 집중 점검한다. 점검 대상 시설은 이용자수가 많거나 최근 화재가 발생한 적이 있는 지하철역 48개소와 시설이 노후한 복지시설 115개소 등 총 163개소로, 여기엔 시 감사관, 자치구, 소방서 직원을 포함해 60명 내외의 대규모 합동감사반이 투입된다. 아울러, 시는 6개 분야 20인으로 구성된 ‘안전감사 옴부즈만’의 자문을 받아 시민의 시각에서 점검하고 개선하는 등 감사의 품질을 높일 계획이다.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특별 소방감사는 2월 24일부터 3월 14일까지 간이 스프링클러, 자동화재탐지기 등 화재 초기 진화를 위한 소방 시설이 모두 갖춰져 있고 또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점검한다. 정부의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모든 노인요양시설 등에 간이 스프링클러, 자동화재 탐지기, 자동화재 속보설비 등과 같은 소방시설을 2014년 2월 4일까지 필수적으로 갖춰야 한다. 서울시는 작년 한 해 소방시설 설치에 52억8,800만 원의 보조금을 지원한바 있다.
특히, 치매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이 대부분인 시설의 특성상 불이 나면 대형인명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대응체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는지 등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점검대상은 서울시내 616개 노인요양시설 중 수용인원이 많거나 화재에 취약한 200여 개 노후 시설로 시내 4개 권역으로 나누어 서울시와 소방서 직원 16명이 8개 조로 합동감사반을 편성, 점검에 나선다.
서울시는 이번 다중이용시설 안전감사와 노인요양시설 소방감사를 통해 화재 및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취약시설 안전관리에 대한 관계공무원들의 책임감과 경각심을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시·구 감사협의회’의 첫 합동 감사를 시작으로 앞으로도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감사 분야에서 시-자치구간 공동협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해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