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물건 못들 정도의 팔꿈치 찌릿 통증 '상과염' 질환자 증가

2019년 ‘상과염’ 질환 50대가 36.5%(29만7천명) 가장 많아

입력 2021년05월04일 13시48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상과염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5년 70만5,000명에서 2019년 81만4,000명으로 10만8,000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5년 33만1,000명에서 2019년 40만6,000명으로 22.5%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37만4,000명에서 2019년 40만8,000명으로 9.0% 증가했다.


 

2019년 기준 상과염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 중 50대가 36.5%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27.0%, 60대가 19.8%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50대 33.0%, 40대 27.6%, 60대 20.0%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5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40.0%로 가장 높았고, 40대 및 60대가 각각 26.4%, 19.6%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김성훈 교수는 “상과염은 직업적으로 팔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다. 세계적인 통계를 보면 40대 이후, 특히 40대~60대의 여성에서 유발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이는 연령대가 직업적으로 아직 활발히 활동을 하는 시기이지만 힘줄의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해 무리한 활동 시 힘줄의 손상이 발생하기 쉽고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에 비해 치유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만성 퇴행성 건병증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연령의 증가에 따른 전반적인 근력의 약화와 여성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근 손실이 빠르다는 것도 상과염이 발생하기 쉬운 요인이 된다. 최근 중년에서 골프와 같은 위험요인이 되는 스포츠 인구가 증가한 것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10만 명당 상과염질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1,583명으로 2015년 1,397명 대비 13.3% 증가했으며, 남성은 2015년 1,306명에서 2019년 1,574명으로 20.5%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1,489명에서 2019년 1,593명으로 7.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남성의 증가율이 훨씬 높았다. 10만 명당 상과염질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0대에서 여성 3,814명, 남성 3,112명으로 가장 높아 정점을 이루고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상과염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5년 833억 원에서 2019년 1,228억 원으로 47.4%(395억 원)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0.2%로 나타났다. 2015년 대비 성별 진료비 증가율을 살펴보면 남성은 56.7%, 여성은 39.9%로 남성의 증가율이 훨씬 높았다. 2019년 기준 성별 상과염 질환 건강보험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0대가 39.6%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28.0%, 60대 19.3%순이었으며 특히, 50대의 남성과 여성은 각각 34.5%, 44.3%로 가장 많았으며, 진료인원 구성비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간 성별로 살펴보면, 2015년 11만8,000원에서 2019년 15만1,000원으로 27.8% 증가했으며, 여성이 남성의 진료비보다 높았다. 2015년 대비 2019년 증가율은 남성 27.9%, 여성 28.3%로 성별로 유사한 증가율을 보였다. 2019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16만4,000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남성은 40대가 15만3,000원으로 가장 많고, 여성은 50대가 17만4,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김성훈 교수는 상과염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 시 문제에 대해 “통계적으로 90%의 환자에서 1년 이내에 자연 치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적절한 휴식과 통증을 유발하는 활동을 제한하며, 적절한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 운동을 포함한 물리치료를 시행할 경우 가장 빠른 치유를 기대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의 경우 약물에 의한 일정 기간 통증의 완화 이후 증상은 다시 심해져서 장기적으로 경과 관찰만 시행한 경우보다 결과가 좋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다. 소수의 환자에서 보존적 치료에 실패해 1년 이상 지속되는 통증과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특히 측부 인대의 손상이 동반되어 관절의 불안정성이 동반된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글=남정식 기자(rlaqudgjs930@naver.com)

ⓒ 시니어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남정식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건강 스포츠 문화 이슈

동영상 뉴스

포토뉴스

건강뉴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