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홈 > 커뮤니티 > 보도자료 > 상세보기
보도자료 보도자료란은
다른 매체나 언론을 통해 보도된 자료가 등록된 게시판입니다.
프린트
제목 뇌졸중 발생 시 연령이 높아질수록 누적사망률도 증가 2018-04-19 20:12:10
작성인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조회:190     추천:39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는 뇌병변장애의 주요 원인 질환중 하나인 뇌졸중 신규환자를 심층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뇌졸중 신규환자를 대상으로 10년간 의료이용 추이와 누적사망률, 장애등록률, 뇌병변 장애인의 장애등급 변화 및 장애등록 전후 소득계층의 변화를 분석했다.

 

등록 장애인 데이터베이스(사회보장정보원), 진료비 청구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결합해 입원 에피소드를 기준으로 10년간 자료를 구축해 분석했다. 2005년 신규 뇌졸중 환자는 49,726명이었으며, 10년 동안 총 진료비 4,618억 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신규 뇌졸중 환자는 전체 49,726명에서 뇌졸중 발생 후 2년차에는 91.72% 감소한 4,115명으로 나타났다. 그 후 꾸준히 감소해 뇌졸중 발생 후 10년차에는 1,507(3.03%)만이 뇌졸중으로 인한 입원의료이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신규환자의 10년간 장애등록자는 14,088(28.33%), 뇌졸중 발생 후 장애등록까지의 평균 기간은 22.48개월로 나타났다. 장애등록자 14,088명 중 뇌병변이 11,155(79.18%)으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고, 그 다음이 지체가 1,176(8.35%)으로 두 장애유형에 해당하는 경우가 12,331(87.53%)으로 가장 많이 분포했다.

 

뇌졸중 발생 이후 장애인으로 등록한 사람들에서 발생한 총 진료비는 2,758억 원으로 뇌졸중 환자에서 10년간 발생한 총 진료비(4,618억 원)59.72%로 산출되었다. 뇌졸중 발생 이후 장애등록을 한 비율인 28.33%(14,088)에 비해 장애등록자들의 10년간 발생한 총 진료비의 비율인 59.72%(2,758억 원)를 비교해 볼 때, 총 진료비의 비율이 장애등록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장애 등록자의 장애 등록 이전 발생 진료비는 1,215억 원(44.05%)으로 장애 등록 이후 1,543억 원(55.95%) 대비 11.90%p의 차이를 보였으나, 평균 장애등록기간이 22.48개월(2)임을 감안할 경우 장애 등록 이전 시점에도 지출되는 진료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뇌졸중 발생 이후 초기집중 재활의료서비스를 강화시켜야 함은 물론 재난적 의료비의 지출이 이루어짐에 따른 재정적 지원책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뇌졸중 신규환자의 44.73%에 해당하는 22242명이 뇌졸중 발생 이후 10년간 사망했다. 뇌졸중 발생 시 연령이 성인기(18-44)10년간 사망자수는 694(누적사망률 16.86%), 장년기(45-64)의 사망자수는 4,461(누적사망률 24.41%), 고령기(65-84)14549(누적사망률 59.15%), 초고령기(85세 이상) 2,538(누적사망률 92.70%)으로 나타나 뇌졸중 발생 시 연령이 증가할수록 10년간 누적 사망률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년 이전 누적사망률을 18~44세에 해당하는 성인기 인구집단과 45~64세에 해당하는 장년기 인구집단을 비교한 결과, 성인기 인구집단에서 514(12.49%)으로 장년기 인구집단 2,235(12.23%)보다 더 높은 누적사망률을 보여 연령과 누적사망률의 반비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뇌졸중 유형의 분포를 고려할 경우, 뇌경색 대비 뇌출혈이 연령이 낮을수록 더 많이 분포하고 있음에 기인하는 결과라 유추된다.

 

뇌병변 장애로 등록한 이후 장애등급 재판정 시 중증도가 조정되지 않은 경우는 9,798(93.18%), 중증도가 조정된 경우는 717(6.82%)으로 나타났다. 중증도가 조정된 군(717, 100%) 597(전체의 5.68%, 조정된 군 중에서 83.26%)은 중증도가 높아졌으며(장애등급 상승), 나머지 120(전체의 1.14%, 조정된 군 중에서 16.74%)만 중증도가 낮아진 것(장애등급 하락)을 알 수 있었다. 장애 재판정시 장애등급은 중증도가 높은(1, 2등급) 군에서만 하락하였고, 중증도가 낮은(3~6등급) 군에서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신규환자의 장애등록 이후 소득계층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일환으로 의료보장 유형(건강보험의료급여), 건강보험료 분위(건강보험료 1분위4분위), 의료급여수급권 자격(의료급여 1의료급여 2)이 변화하는 경우를 보였다. 장애등록 전후의 의료보장 유형을 살펴본 결과, 장애등록 이전에 비해 건강보험 가입자는 9,443명에서 8,613명으로 835(8.84%) 감소했다. 반면 의료급여 수급권자(1, 2종 포함)155명에서 1,267(717.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신규환자의 장애등록 이후 의료보장 유형에 변화가 있는 경우는 863(8.20%)으로 나타났으며, 소득계층이 하향된 경우는 849(전체의 8.07%)로 나타났다. 의료보장 유형에 변화가 있었던 군(863, 100%) 중에서 소득계층 하향을 경험한 경우 849(전체의 8.07%, 의료보장 유형에 변화가 있었던 군 중 98.38%)로 나타났으며, 건강보험 가입자의료급여 2종 수급권자 92(의료보장 유형의 소득계층 하락을 경험한 군 중 14.96%), 건강보험 가입자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 127(의료보장 유형의 소득계층 하락을 경험한 군 중 10.84%), 건강보험 가입자중복대상자 630(의료보장 유형의 소득계층 하락을 경험한 군 중 74.20%)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뇌졸중 발생 이후 의료급여 수급권자에서 건강보험 가입자로 의료보장 유형의 변화 중 소득계층의 상향조정을 경험한 경우는 14(의료보장 유형의 변화가 있었던 군 중 1.62%)으로 나타났다. 이는 뇌졸중 발생 이후 소득수준의 향상 등을 경험한 것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개인의 직업상실 또는 소득수준의 저하로 인해 뇌졸중 환자를 보살피는 가족 구성원의 소득수준에 영향을 받은 것에 기인하는 결과라 예측된다.

 

건강보험 가입자로서 보험료 분위가 변하는 경우는 4,184(39.78%)으로 나타났다. 소득계층이 하향 변화한 경우는 2,545(전체의 24.20%)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보험료 분위의 변화를 경험한 군(4,184, 100%) 중 소득계층 하향을 경험한 경우, 즉 보험료 분위가 하향 조정된 경우 2,545(전체의 24.20%, 건강보험 보험료 분위의 변화를 경험한 군 중 60.83%)이었다.

 

특히, 건강보험 보험료 분위가 장애등록 이전 1-4분위에서 보험료 분위에 포함되지 않은 차상위 등으로 소득계층 하향을 경험한 경우는 1,152(전체의 10.95%, 건강보험 보험료 분위의 변화를 경험한 군 중 27.53%)으로 나타났다. 보험료 분위에 포함되지 않은 차상위 등의 계층은 장애등록 이전 299명에서 장애등록 이후 1,410명으로 4.72배 증가했다. 반면에 보험료 상향조정된 즉, 소득계층의 상향을 경험한 경우는 1,639(39.17%)으로 나타나 보험료 분위가 낮아진 경우가 상향조정된 경우 대비 21.65%p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뇌졸중 신규환자의 장애등록 이후 의료급여 수급권 자격에 변화가 있는 경우는 919(8.74%)으로 나타났으며, 소득계층이 하향 변화한 경우는 548(전체의 5.21%)으로 분석되었다. 의료급여 수급권 자격의 변화를 경험한 군(919, 100%) 중 소득계층 하향을 경험한 경우는 548(전체의 5.21%, 의료급여 수급권 자격의 변화를 경험한 군 중 59.63%)로 나타나 의료급여 2종 수급권자1종 수급권자 14(전체의 0.01%, 의료급여 수급권 자격의 변화를 경험한 군 중 1.52%), 중복대상자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 534(전체의 5.08%, 의료급여 수급권 자격의 변화를 경험한 군 중 58.11%)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소득계층 상향을 경험한 경우는 2(의료급여 수급권 자격의 변화를 경험한 군 중 1.6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특히, 중증의 뇌졸중)환자는 의료이용시 직접비 외에도 간접비(교통비, 간병비, 생산성 손실 비용 등)의 영향으로 인해 가계의 수입 및 지출에 까지 영향을 받은 것으로 예상되며, 뇌졸중 이후 전반적으로 소득계층의 하향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관련하여 장애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및 재활의료서비스의 비용-효과 분석연구결과에 따르면 뇌병변장애인의 1인당 평균 사회경제적 비용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15개 유형 중 3위를 차지할 정도로 큰 규모를 보였으며, 4년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경제적 비용의 증가와 비례하여 간접비 역시 함께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처럼 뇌졸중은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중 하나로, 그 중증도와 진료비가 비례하며, 기능의 유지와 완화 및 합병증의 발생과 뇌졸중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초기집중적인 재활치료 및 적극적인 사후관리가 매우 필요한 특징적인 질환이다.

 

국립재활원 호승희 과장은 뇌졸중의 경우 질환의 특성상 요양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합병증이나 2차 질환 등을 관리해야 함에 따라 직·간접 의료비의 지출은 가계의 부담을 넘어 가계소득 수준에 치명적 영향을 미치는 재난적 의료비로까지 자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뇌졸중 환자들이 적기에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재활의료 전

추천 소스보기 답변 수정 목록
이전글 : 건강기능식품 허위.과대 표시 및 광고 처벌 강화 (2018-04-19 19:50:27)
다음글 : 가정용 혈압계 관련 비교정보 생산결과 (2018-04-19 20: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