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홈 > 커뮤니티 > 보도자료 > 상세보기
보도자료 보도자료란은
다른 매체나 언론을 통해 보도된 자료가 등록된 게시판입니다.
프린트
제목 상반기 해외직구,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 2017-08-15 00:02:28
작성인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조회:111     추천:23

2017년도 상반기 해외직구 규모는 1,096만 건, 97,400만 달러 2016년도 상반기 815만 건, 74,600만 달러 대비 건수기준 34%, 금액기준 30% 대폭 증가하였다.

 

해외직구가 가파르게 증가한 원인으로는 직구물품 가격 비교를 통해 저렴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는 이점 유럽, 중국, 일본 등 직구시장이 다변화되어 국내에서 구하기 힘든 물품을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 특히 최근에는 개인 건강과 만족을 중시하는 소비패턴의 변화 등이 어우러진 것으로 분석된다.

 

품목별 수입실적을 보면 시계류를 제외한 모든 품목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해외직구 인기 품목인 식품류(건강기능식품 포함)372만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하였고, 화장품류 143만 건으로 26%, 의류 120만 건으로 23%, 신발류 88만 건으로 32%, 완구 및 인형류 55만 건으로 53%, 가방류 38만 건으로 40% 증가하였다.

 

특히 TV나 스마트폰 관련 품목 등 전자제품류는 88만 건으로 가장 높은 115% 증가율을 기록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중국에서 공기청정기 수입이 전년 동기대비 11(7,14178,750) 이상 급증했다. 이는 봄철 미세먼지나 황사로부터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공기청정기 수요가 높아진 것이 하나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국가별 해외직구 수입실적 모두 증가. 미국의 경우 631만 건, 56,4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건수기준 15%, 금액기준 13% 증가하였다. 유럽은 177만 건, 2억 달러로 건수기준 60%, 금액기준 68% 증가하였으며, 중국은 162만 건, 11,500만 달러로 건수기준 87%, 금액기준 70% 증가, 일본은 97만 건, 6,400만 달러로 건수기준 136%, 금액기준 101% 증가하여 미국 중심의 직구 시장이 유럽과 아시아로 빠르게 다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해외 직구시장 점유율은 미국(57%)>유럽(16%)>중국(15%)>일본(9%) 순으로 미국이 여전히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전체 비중은 지속적으로 축소되는 추세(20142015)73%(2016)65%(2017.6)57%인 반면, 유럽의 비중은 확대(2014)8%(2015)11%(2016)15%(2017.6)16%되고, 중국(홍콩포함)의 비중도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2014)15%(2015)8%(2016)11%(2017.6)15%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점유율 비중도(2014)2%(2015)5%(2016)6%(2017.6)9%증가하였으며, 특히 올해에는 전년 동기 대비 수입실적이 건수기준으로 136% 증가하였는데, 이는 엔화약세와 더불어 배송이 빠른 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국가별 해외직구 주요 인기품목을 살펴보면 미국은 비타민 등 건강기능식품(30%), 유럽은 화장품 및 향수(31%), 중국은 공기청정기, 휴대전화기 등을 비롯한 전자제품류(22%), 일본은 젤리, 초콜릿 등 식품류(20%)가 가장 많이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직구 관련 하반기 달라지는 통관제도로는 스마트 통관심사제도 도입으로 통관소요시간이 단축되었다.

 

관세청에서는 해외직구 물품 증가에 따라 개인이 수입하는 2,000불 이하 전자상거래 특송물품 등 우범성이 없는 수입신고건에 대하여 전자적으로 심사 및 수리하는 스마트 통관심사제도를 올 하반기에 도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직구 관련 피해사례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국소비자원과 공동으로 직구 물품 주문부터 수령까지 거래 단계별로 유의사항을 정리한 해외직구 피해예방 체크포인트를 자료를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소비자 권리구제에도 노력하고 있다.

추천 소스보기 답변 수정 목록
이전글 : 전국의 숨은 자원봉사자를 찾아주세요 (2017-08-14 23:45:11)
다음글 : 전국 가계부채 1,360조 원으로 소득증가 앞질러 (2017-08-15 08:2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