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길어지는 겨울 밤, 불면증 해소하고 '꿀 잠'자기

스트레스 조절과 생활습관으로 ‘꿀 잠’ 회복

입력 2014년11월24일 23시10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우리가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7-8시간의 잠이 필수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양질의 잠은 뇌 건강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불안감, 우울감 및 치매를 예방하고, 당뇨, 골다공증 등의 예방 효과까지 있다는 연구도 있다. 또한 잠을 잘 자지 못한다는 것은 몸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불면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에 따르면 2008년에 비해 2012년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연평균 약 12% 증가하였으며, 그 중 66.7%의 환자가 불면증으로 진료를 받았다고 한다. 잠을 잘 자지 못하면 몸이 피곤하다는 정도로 수면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수면은 우리 신체 활동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사진제공: 자미원한의원  

우리가 잠을 자는 동안 우리 몸에서는 많은 일들이 진행된다. 먼저 뇌는 우리가 깨어있던 동안에 수집한 많은 양의 정보를 정리한다. 따라서 잠을 줄이고 밤을 새서 공부하기보다 적당한 수면을 취해줘야 오히려 기억력 및 집중력이 높아진다. 그리고 우리가 잠을 자는 동안 특수한 뇌세포가 활동을 시작하여 뇌에 쌓여있는 노폐물을 처리하고 두뇌의 호르몬, 효소, 단백질 등이 균형을 이루도록 조정해 뇌 건강을 유지시킨다. 특히 성장호르몬은 대부분 잠을 잘 때 분비되기 때문에 아이들의 신체적 성장과 뇌 발달에 충분한 수면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불면증의 증상으로는 잠들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입면장애’, 잠을 자면서 자을 자주 깨어나는 수면유지장애’, 수면시간이 6시간 이하이면서 잠을 한 번 깨면 다시 자기 어려운 조기각성으로 나눠진다. 이러한 증상이 4주간 지속되면 만성적 불면증으로 진단해 치료를 한다.

 

불면증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양하다. 먼저 코콜이나 수면무호흡 증상으로 수면 중 뇌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경우이다. 코골이는 수면 중 목젖 뒷부분의 기도가 좁아져서 공기가 그 사이를 지날 때 점막이 떨려 생기는 현상이다. 코골이가 심한 경우 수면무호흡증으로 이어질 수 있고, 장시간 수면무호흡증상이 이어지면 심장질환, 뇌경색, 고혈압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실제로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는 환자의 상당수가 코골이 증상을 갖고 있을 만큼 코골이는 불면증의 큰 원인이다또한 정신과질환들의 증상과 불면증도 관계가 높다. 불면증 환자의 35% 정도가 정신과질환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여러 정신과질환으로 인해 불면증에 시달릴 수도 있고 불면증이 장기간 지속되면 불안증, 우울증이 심해지거나 정신질환이 발생할 수도 있다.

 

스트레스도 불면증의 대표적인 원인이다. 교감신경은 위급한 상황에 대처하는 기능을 하는데,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심장 박동수와 혈압이 상승하고, 위장운동이 저하되는 등의 반응이 나타난다. 반면 부교감신경은 심장박동 저하와 소화기관의 운동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우리 몸이 스트레스를 느끼게 되면 교감신경 활성화, 부교감신경 저하로 신체가 흥분된 상태가 되어 수면을 방해하게 된다이밖에 스마트폰, 태블릿, 랩탑, 전등 등에서 나오는 불빛은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 멜라토닌의 분비를 억제시켜 불면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일시적인 불면증의 경우에는 적절한 수면제나 수면유도제의 사용이 도움이 된다. 또한 정신질환 증상으로 나타나는 불면증의 경우에도 수면제를 처방하기도 한다. 우울증 초기에 수면작용이 있는 항우울제를 처방하여 충분한 잠을 유도하면 우울증 호전 효과가 있기도 하다. 하지만 불면증의 근본 원인을 치료하는 것은 아니기에 효과가 한시적일 수 있고 수면제 사용이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불면증의 경우, 체중을 줄이거나 자세를 교정하여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 기도가 막힌 정도에 따라 이비인후과에서 수술을 하기도 한다.

 

청심국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규박 부장은 스트레스성 불면증의 경우 스트레스 유발 원인을 해결하거나 마음을 컨트롤하지 못하고 수면제, 수면유도제 등의 약물에 의존하다 보면 자칫 약물 중독, 과진정과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고 전했다.

남정식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건강 스포츠 문화 이슈

동영상 뉴스

포토뉴스

건강뉴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