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홈 > 커뮤니티 > 자료실 > 상세보기
자료실 빠르게만 돌아가고 있는 요즘 세상에서 한 템포 늦춰 우리 주위를 한 번 살펴봐 주세요.
묵묵하게 자기일을 열심히 하며 남도 함께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것입니다.
채택된 내용은 인터넷뉴스 지면에 기사화 될 수 있습니다.
프린트
제목 2023년 퇴직연금통계 결과 2025-01-09 23:24:01
작성인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조회:148     추천:22
첨부파일 :  1736520499-99.pdf

[퇴직연금제도 적립금액 및 운용방식]

□ 2023년 적립금액은 전년 대비 13.9%(335조 원→381조 원) 증가

ㅇ 제도유형별 구성비는 확정급여형(53.7%), 확정기여형(25.9%), 개인형 퇴직연금(20.0%) 순이며, 전년 대비 개인형 퇴직연금 구성비는 2.6%p 증가

 

[퇴직연금제도 도입 사업장]

□ 2023년 전체 도입 사업장은 43만 7천 개소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43만6천 개소→43만7천 개소)

ㅇ 구성비는 확정기여형(67.0%), 확정급여형(19.9%), 병행형(7.3%) 순이며, 전년 대비 확정기여형 구성비는 0.6%p 증가

 

□ 도입 대상 사업장 162만 5천 개소 중 42만 9천 개소가 도입하여 도입률은 26.4%로 나타남

ㅇ 산업별 도입률은 보건사회복지업 61.1%, 금융보험업 57.0%, 제조업 36.3%, 교육서비스업 35.3%, 전문과학기술업 28.9% 등의 순임

 

[퇴직연금제도 가입 근로자]

□ 2023년 전체 가입 근로자는 전년 대비 2.8%(694만8천 명→714만4천 명) 증가

ㅇ 구성비는 확정기여형(53.7%), 확정급여형(43.5%), 병행형(2.0%) 순이며, 전년 대비 확정기여형 구성비는 0.9%p 증가

 

□ 가입 대상 근로자 1,272만 2천 명 중 674만 8천 명이 가입하여 가입률은 53.0%로 나타남

ㅇ 성별 가입률은 남성이 53.8%, 여성이 52.0%이고, 연령대별 가입률은 30대(60.5%), 40대(58.3%), 50대(52.8%) 등의 순으로 나타남

ㅇ 산업별 가입률은 금융보험업 75.5%, 제조업 63.3%, 보건사회복지업 62.5%, 정보통신업 62.0%, 사업서비스업 57.8% 등의 순임

 

[개인형 퇴직연금제도]

□ 2023년 개인형 퇴직연금 가입 인원은 전년 대비 7.0%(300만4천 명→321만5천 명) 증가하였고, 적립금액은 30.9%(58조 원→76조 원) 증가

ㅇ제도 변경으로 추가 가입한 인원은 전년 대비 7.3% 증가한 149만 4천 명

 

[중도인출, 개인형 퇴직연금 이전 및 해지]

 

□ 2023년 중도인출 인원은 전년 대비 28.1%(5만 명→6만 4천 명) 증가하였고, 인출 금액은 40.0%(1.7조 원→2.4조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ㅇ 중도인출 사유 구성비는 인원 기준으로 주택 구입이 52.7%, 주거 임차가 27.5%, 회생 절차가 13.6% 순으로 나타남

ㅇ 연령별 중도인출 사유는 20대 이하는 주거 임차, 나머지 연령대는 주택 구입 목적의 중도인출이 가장 많음

 

□ 적립금을 개인형 퇴직연금으로 이전한 인원은 전년 대비 1.2%(98만4천 명→97만3천 명) 감소, 이전 금액은 3.5%(20조 원→21조 원) 증가

ㅇ 개인형 퇴직연금을 해지한 인원은 전년 대비 7.7%(98만 7천 명→106만 3천 명) 증가, 해지 금액은 8.4%(14조 원→15조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wys2/file_attach/2025/01/09/1736432559_82663.hwp

추천 소스보기 답변 수정 삭제 목록
이전글 : 2024년 한국복지패널 조사·분석 보고서 (2025-01-03 09:25:38)
다음글 : 서울시 40대 누구에게 집중해야 할까? (2025-01-10 23:47:25)